
[평화나무 박종찬 기자] 중앙일보가 청와대 인근 상가 건물에 배설물을 뿌린 남성은 “보수집회 참가자가 아니”라고 보도하자, 청와대 인근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 황당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중앙일보는 15일 <청와대 앞 상가서 배설물 뿌린 남성, "보수집회 참가자 아냐">라는 제목의 기사를 올렸다. 평화나무가 상가에 용변을 본 남성을 집회 참가자의 무법행위로 보고 고발한 것에 대해 반박한 것이다.
앞서 문재인하야범국민투쟁본부(전광훈 총괄대표)와 우리공화당(조원진 공동대표)이 주도한 집회가 열린 지난해 10월 9일, 집회 참가자로 추정되는 남성이 청와대 인근 상가 건물 안에서 용변을 보고 건물 밖으로 용변을 투척한 사건이 있었다. 사단법인 평화나무는 지난해 11월 이 남성을 경범죄로 경찰에 고발했다.
이 남성은 경찰 조사에서 용변과 용변 투척 행위는 인정했으나, 자신은 집회 참가자가 아니라 등산객이었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앙일보는 이 남성의 진술 내용을 인용해 <청와대 앞 상가서 배설물 뿌린 남성, "보수집회 참가자 아냐">라는 제목으로 기사화했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거나 구체적인 정황을 알아보려는 노력은 기울이지 않았다.
이에 청와대 인근 주민 J 씨는 <평화나무>를 통해 “그분(용변 용의자)이 (집회 참가 사실을) 부정할 줄은 생각도 못했다”며 “등산객이 이 길로 다니지 않는 건 (청와대 인근 주민) 모두가 안다”고 황당해 했다.
실제로 용변이 투척된 상가와 인근 보도블럭은 여러 정치적 성토를 하려는 사람들이 오가거나, 외국인 관광객들이 다니는 길이다. 산으로 이어진 길과는 상당 거리 떨어져 있다.

J 씨는 “그 할아버지가 한 가게에 들러 ‘시위하러 왔다’고 말하는 것을 가게 직원이 들었다”고도 했다. 또 <평화나무> 보도 이후 “(용변 사건이 일어난) 건물 대표에게 죽여버리겠다는 협박 전화가 왔다”고도 했다. 건물 대표는 협박 전화를 받은 뒤 발신 번호가 표시되고 통화 녹음이 가능한 전화기로 교체했다.
사건 당일 청와대 인근 한 가게 CCTV에 포착된 용변 용의자의 복장은 셔츠에 면바지 차림으로, 등산복이 아니었다. 태극기도 소지하고 있었다. 태극기는 보수집회 참가자들이 집회 때마다 들고 다닌다. 이 때문에 극우 보수 참가자들은 보통 ‘태극기 부대’로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