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유가족 “8주기에는 진상규명 외치지 않고 진정으로 추모만 할 수 있도록 해달라”

[평화나무 김준수 기자]
세월호참사가 발생한 지도 어느덧 7주기다. 엄혹했던 시기를 지나 성역 없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한 안전사회 건설을 소망했던 유가족들의 간절한 바람은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지 4년이 지나도록 외면 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세월호참사 7주기인 4월 16일 SNS를 통해 다시 한번 유가족들에게 진상규명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사회적참사 진상규명특별법 개정안과 특검 통과를 언급하며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를 통해 성역 없는 진상규명이 이루어지도록 끝까지 챙기겠다”며 “‘나라다운 나라’를 만들어보자는 국민들의 외첨, 잊지 않고 있다. 안전한 나라를 위해 오늘도 아이들을 가슴에 품어본다”고 했다.
하지만 거듭된 진상규명 약속에도 유가족들의 마음은 풀릴 길이 없어 보였다. 16일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7주기 기억식 및 4·16생명안전공원 선포식’에서 김종기 운영위원장(4.16가족협의회)은 문재인 대통령과 국회에 대한 실망감에 지친 기색이 역력했다.
김 운영위원장은 “우리 아이들이 하늘의 별이 된 지 벌써 7년이다. 들판에 핀 예쁜 꽃보다 더 예쁘고 사랑스러운 딸, 산 위의 바위같이 듬직하고 자랑스러운 아들을 세월호참사로 하늘에 먼저 떠나보낸 지 벌써 7년이 되었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사방으로 찾아보아도 내 목숨 같은 우리 아들딸들을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다”며 사랑하는 자녀를 떠나보내야만 했던 회한을 숨기지 못했다.
7년이 지나도록 더딘 진상규명에 꿈에서 만나는 아이들의 눈을 마주칠 수 없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문재인 대통령님께 다시 한번 요청 드린다. 늦었지만 더 늦기 전에 지금 즉시 그동안 누누이 천명하셨던 진상규명 약속 이행을 실행해달라. 성역 없는 진상규명을 할 수 있는 공정하고 엄정한 새로운 수사를 시작해달라”고 했다.
아울러 국회를 향해서도 “세월호 사건의 완전한 해결에는 문재인 정부 의지뿐만 아니고 국회의 적극적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여당은 국민들이 만들어준 180여석의 의미를 깊이 성찰해야 한다”며 “그동안 세월호참사 해결에 미온적이고 발목잡기식으로 반대만 하던 태도를 쇄신하고 변화하여 아픔에 공감하고 해결에 나서겠다는 제1야당을 우리 피해자들과 국민들은 두 눈 부릅뜨고 지켜볼 것”이라고 했다.
다시는 세월호참사와 같은 사회적 재난이 반복되지 않도록, 진상규명을 위해 애쓰는 유가족이 생기지 않도록 문재인 정부에서만큼은 성역 없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통한 안전사회 건설로 나아가줄 것을 재차 촉구했다.
김 운영위원장은 “별이 된 우리 아이들에게 덜 미안한 부모와 어른들이 될 수 있도록 해달라. 우리 피해자 가족들이 일상을 회복하고, 가정생활에 전념할 수 있게 해달라”며 “내년 8주기에는 우리 피해자 가족들은 물론이고 7년을 함께 싸워주신 국민들과 해외동포들까지 다시 진상규명 외치지 않고 책임자 처벌 외치지 않고 우리 아이들을 위해, 억울하게 희생된 304명의 국민들을 위해 진정으로 추모만 할 수 있도록 해달라. 다시 한번 간곡히 말씀드린다”고 했다.
“사랑하는 아들딸들아. 7년 전 오늘은 너희들이 검푸른 바닷속 생사의 갈림길에서 공포와 싸워가며 애타게 엄마, 아빠를 부르며 몸부림치던 그날이구나. 미안하고, 미안하고 또 미안하구나. 못난 엄마, 아빠가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그저 바다만 바라보며 무기력하게 통곡했던 그날이구나. 이런 못난 엄마 아빠를 용서하지 말아라. 대신 엄마, 아빠가 열심히 최선을 다해서 너희들의 억울함을 풀어줄게. 그때는 조금 웃으며 맞이해주지 않겠니. 부디 그날까지 친구들과 선생님과 즐겁게 행복하게 잘 지내라. 나중에 하늘에서 웃으며 만나자꾸나. 너무나 보고 싶은 아들딸들아. 정말 많이, 많이 사랑한다.”
세월호참사 생존 학생인 장예진 씨도 “진상규명을 해야겠다고 마음 먹었을 때가 엊그제 같은데 7년이라는 시간이 흘러갔다. 아직 세월호는 마침표를 찍지 못하고 항상 물음표만 남겨지게 된다”며 “기억, 책임, 약속. 약속 안에 기억과 책임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기억하겠다는 약속,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책임지겠다는 약속, 진상규명을 하겠다는 약속, 지켜달라”고 했다.